픽셀 셰이더(Pixel Shader)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해서 GPU에서 실행하는 프로램이다. 렌더링 될 각각의 픽셀들의 색을 계산한다. 만약 해상도가 256 × 256 이라면 픽셀 셰이더는 2562 = 65,536 만큼 계산한다. 오직 한 픽셀만을 연산하기 때문에 다른 픽셀들의 정보를 알 수 없고, 간섭할 수 없다. 픽셀 셰이더는 색 말고도 깊이(Z버퍼)을 출력할 수 있다.
최종적으로 픽셀이 어떻게 보일지를 결정하는데, 픽셀 셰이더를 이용하여 블러(blur)나 블룸(bloom)같은 특수효과를 넣을 수도 있고, 알파값을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. 셰이더에서는 디버깅하는 것이 힘들어 테스트 결과를 가시적으로 보기 힘든데, 나는 픽셀 셰이더를 사용해서 a경우엔 빨간색, b경우엔 노란색으로 하는 방법으로 사용했다.
728x90
'서적 정리 > DirectX11을 이용한 3D 게임 프로그래밍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4.정점 버퍼(Vertex Buffer) (0) | 2022.02.07 |
---|---|
43.정점과 입력 배치 (0) | 2022.01.25 |
42.렌더링 파이프라인 요약 (0) | 2022.01.25 |
41.출력 병합기(Output Merger : OM) 단계 (0) | 2022.01.25 |
39.래스터화기 단계(Rasterizer Stage : RS) (0) | 2022.01.25 |
38.절단(clipping) (0) | 2022.01.25 |
37.기하 셰이더(Geometry Shader : GS) 단계 (0) | 2022.01.25 |
36.테셀레이션(Tessellation) 단계 (0) | 2022.01.25 |
댓글